逃戶 (도호, táohù) 樂雷發 (악뇌발)

逃戶(도호) 樂雷發(악뇌발)

租帖名猶在 (조첩명유재)
何人納稅錢 (하인납세전)
燒侵無主墓 (소침무주묘)
地占沒官田 (지점몰관전)

邊國干戈滿 (변국간과만)
蠻州瘴癘偏 (만주장려편)
不知携老稚 (부지휴노치)
何處就豊年 (하처취풍년)

桃花溪 (도화계) 張旭 (장욱)

도화계(桃花溪) - 장욱(張旭)

隱隱飛橋隔野煙 (은은비교격야연)
石磯西畔問漁船 (석기서반문어선)
桃花盡日隨流去 (도화진일수류거)
洞在靑溪何處邊 (동재청계하처변)

陶淵明寫眞圖 (도연명사진도) 謝薖 (사과)

陶淵明寫眞圖(도연명사진도) - 謝薖(사과)

陶淵歸去潯陽曲 (도연귀거심양곡)
杖藜蒲鞵巾一幅 (장려포혜건일폭)
陰陰老樹顚黃鸝 (음음로수전황리)
艶艶東籬粲霜菊 (염염동리찬상국)

世紛無盡過眼空 (세분무진과안공)
生不事豊隨意足 (생불사풍수의족)
廟堂之資老蓬蓽 (묘당지자노봉필)
環堵蕭條僅容膝 (환도소조근용슬)

大兒頑鈍懶詩書 (대아완둔라시서)
小兒嬌癡愛梨栗 (소아교치애이률)
老妻日暮荷鋤歸 (노처일모하서귀)
欣然一笑共蝸室 (흔연일소공와실)

哦詩未遺愁肝腎 (아시미유수간신)
醉裏呼兒供紙筆 (취이호아공지필)
時時得句輒寫之 (시시득구첩사지)
五言平淡用一律 (오언평담용일률)

田家酒熟夜打門 (전가주숙야타문)
頭上自有漉酒巾 (두상자유록주건)
老農時問桑麻長 (노농시문상마장)
提壺挈榼來相親 (제호설합래상친)

一樽徑醉北窓臥 (일준경취북창와)
蕭然自謂羲皇人 (소연자위희황인)
此公聞道窮亦樂 (차공문도궁역락)
容貌不枯似丹渥 (용모불고사단악)

儒林紛紛隨溷濁 (유림분분수혼탁)
山林高義久寂寞 (산림고의구적막)
假令九原今可作 (가령구원금가작)
擧公藍輿也不惡 (거공남여야불오)

對酒二首 (대주2수, duìjiǔ) 白居易 (백거이)

對酒二首(대주2수) 白居易(백거이)

蝸牛角上爭何事 (와우각상쟁하사)
石火光中寄此身 (석화광중기차신)
隨富隨貧且歡樂 (수부수빈차환락)
不開口笑是痴人 (불개구소시치인)

술을 대하며 2 - 백거이

달팽이 뿔 위에서 무엇을 다투는가?
전광석화처럼 짧은 삶이거늘.
부유한 대로 가난한 대로 즐거움 있는 법,
입 벌려 웃지 않는 이 어리석은 자로다.

對酒憶賀監一首 (대주억하감1수, duìjiǔyìhèjiān) 李白 (이백)

對酒憶賀監一首(대주억하감1수) 李白(이백)

四明有狂客 (사명유광객)
風流賀季眞 (풍류하계진)
長安一相見 (장안일상견)
呼我謫仙人 (호아적선인)
昔好杯中物 (석호배중물)
翻為松下塵 (번위송하진)
金龜換酒處 (금귀환주처)
卻憶淚沾巾 (각억루첨건)

술을 대하고 하감을 생각하며 - 이백

사명산에 광객이 있으니
바로 풍류객 하계진이라.
장안에서 처음 만나
나를 적선인이라 불렀네.
지난날 술을 그리 좋아하더니
지금은 소나무 아래 흙이 되었네.
금귀를 술로 바꾸던 곳
생각하니 눈물이 수건을 적시네.

代悲白頭翁 (대비백두옹) 劉廷芝 (유정지)

代悲白頭翁
劉廷芝

洛陽城東桃李花
飛來飛去落誰家
洛陽女兒惜顔色
行逢女兒長嘆息
今年花落顔色改
明年花開復誰在
實聞桑田變成海

대비백두옹(代悲白頭翁)
유정지(劉廷芝)

낙양성 동쪽 복숭아꽃 오얏꽃
날아오고 날아가며 누구의 집에 지는고
낙양의 어린 소녀는 제 얼굴이 아까운지
가다가 어린 소녀가 길게 한숨짓는 모습을 보니
올해에 꽃이 지면 얼굴은 더욱 늙으리라
내년에 피는 꽃은 또 누가 보려는가
뽕나무 밭도 푸른 바다가 된다는 것은 정말 옳은 말이다

答休上人 (답휴상인) 鮑照 (포조)

답휴상인(答休上人)-포조(鮑照)

酒出野田稻 (주출야전도)
菊生高岡草 (국생고강초)

味貌亦何奇 (미모역하기)
能令君傾倒 (능령군경도)

玉椀徒自羞 (옥완도자수)
爲君慨此秋 (위군개차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