淸平調詞三首 (청평조사3수) 李白 (이백)

淸平調詞三首其三(청평조사삼수기삼)
李白(이백)


名花傾國兩相歡
常得君王帶笑看
解釋春風無限恨
沈香亭北倚欄干

淸平調詞二首 (청평조사2수) 李白 (이백)

淸平調詞二首(청평조사2수)
李白(이백)


一枝濃艶露凝香 일지농염노응향
雲雨巫山枉斷腸 운우무산왕단장
借問漢宮誰得似 차문한궁수득사
可憐飛燕倚新粧 가련비연의신장

한 떨기 붉은 꽃에 이슬 맺혀 향기로운데,
운우의 무산신녀 헛되이 애만 끊누나
漢나라 궁실의 누구와 (미모를) 견줄텐가.
어여쁜 비연(飛燕)이 새로 단장하면 모를까


清平调词(qīng píng diào cí)

淸 맑을 청 | 平 평평할 평,다스릴 편 | 調 고를 조,아침 주 | 詞 말 사,글 사 |


중국 당(唐)나라 때 이백(李白)의 악부 3편. 서기 743년 봄, 당(唐) 현종이 양귀비(楊貴妃)와 함께 침향정(沈香亭) 못가에서 모란을 보며 즐기던 중, 이때까지의 시에 흡족하지 못하고 이백에게 새로 시를 지을 것을 명했다. 이때 이백은 술에 만취되었으나 즉석에서 귀비의 아름다움을 칭송한 시 세 수를 지었다.

그 중 “나뭇가지에 이슬이 향그럽게 맺혔네. 무산(巫山)의 운우(雲雨)가 애절타 어이하리. 묻노니 한궁(漢宮)의 그 누가 이에 닮았더뇨. 가련(可憐)한 비연(飛燕)이 새단장하고 나타났네”라고, 귀비를 한(漢)나라의 성제(成帝)를 유혹한 조비연(趙飛燕)과 비유한 대목이 있어 귀비의 참언(讒言)으로 이백이 추방되었다고도 한다.


淸平調詞(청평조사) 一首(1수) 二首(2수) 三首(3수)

淸平調詞一首 (청평조사1수) 李白 (이백)

淸平調詞一首(청평조사1수)
李白(이백)


雲想衣裳花想容 (운상의상화상용)
春風拂檻露華濃 (춘풍불함로화농)
若非群玉山頭見 (약비군옥산두견)
會向瑤臺月下逢 (회향요대월하봉)

聽蜀僧濬彈琴 (청촉승준탄금) 李白 (이백)

聽蜀僧濬彈琴(청촉승준탄금) 李白(이백)

蜀僧抱綠綺(촉승포녹기)
西下峨眉峰(서하아미봉)
為我一揮手(위아일휘수)
如聽萬壑松(여청만학송)

客心洗流水(객심세류수)
餘響入霜鐘(여향입상종)
不覺碧山暮(불각벽산모)
秋雲暗幾重(추운암기중)

清夜吟 (청야음) 邵雍 (소옹)

清夜吟(청야음) 邵雍(소옹)


月到天心處 (월도천심처)
風來水面時 (풍래수면시)
一般淸意味 (일반청의미)
料得少人知 (요득소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