江南逢李龜年(강남봉이구년) - 杜甫(두보)
岐王宅裏尋常見(기왕택리심상견)
崔九堂前幾度聞(최구당전기도문)
正時江南好風景(정시강남호풍경)
落花時節又逢君(낙화시절우봉군)
강남에서 이구년(李龜年)을 만나다 - 두보
기왕의 저택에서 자주 그대를 보았고
최구의 집에서 노래 몇 번 들었지요.
바야흐로 이 강남의 풍경은 화사한데
꽃 지는 시절에 그대를 또 만나게 되었구료.
江南逢李龟年(Jiāng nán féng lǐ guī nián)
逢 만날 봉 |
岐 갈림길 기 | 裏 속 리,속 이 | 尋 찾을 심 |
幾 몇 기 | 度 법도·횟수 도,헤아릴 탁,살 택 |
'강남에서 이구년(李龜年)을 만나다'라는 제목의 이 시는 두보의 나이 59세 때인 770년(대종 5)에 씌어진 작품으로 《당시선(唐詩選)》과 《두시언해(杜詩諺解)》에 수록되어 전한다. 칠언절구로 분류되는 정형시로서, 1,2,4구의 마지막 글자, 즉 '견(見)·문(聞)·군(君)'이 운자(韻字)이며, 4·3으로 끊어 읽는다.
이 시는 안사의 난을 겪은 후 말년에 유랑생활을 하던 두보가 태평시절에 도읍인 장안(長安)에서 자주 만나던 명창 이구년을 뜻밖의 장소인 강남 담주(潭州)에서 쇠락한 모습으로 재회하게 되면서 느낀 감회를 노래한 것이다. 화려한 시절을 다 보내고 유락한 신세가 된 지금의 처지를 낙화에 비유함으로써, 자신의 감정을 직접적으로 드러내어 표현하지 않고 있으나, 시 전편을 통해 한없는 비애와 인생의 무상함이 저절로 느껴지게 한다. 특히 과거의 영화로운 시절과 화사한 강남의 풍경, 황혼기에 접어든 유랑인생과 낙화시절의 대비가 돋보인다.
이 작품의 시제(詩題)에 나오는 이구년은 당(唐) 현종(玄宗) 때의 최고의 명창으로, 풍류를 즐기던 귀족들의 저택을 출입하며 이름을 떨치던 인물이다. 시 첫구에 나오는 기왕(岐王)은 현종의 아우 이범(李範)으로 문인들과 교류가 잦았던 문학애호가여서 두보도 그의 집에 자주 출입한 것으로 알려졌다. 제2구의 최구(崔九)는 현종의 측근으로 비서감(秘書監)을 지낸 인물이다.
두보는 지난날 영화를 누리던 이구년의 몰락한 모습을 화사한 강남의 풍경과 대비시켜 노래함으로써, 인생의 덧없음과 함께 평화스러운 시대의 붕괴를 상징적으로 말해주고 있다. 오늘날 전해지는 두보의 시 중에서 최후의 칠언절구로 알려진 이 시는 두보의 절구(絶句) 가운데 가장 함축미가 뛰어나며 정감이 넘치는 작품으로 평가된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