陶淵明寫眞圖 (도연명사진도) 謝薖 (사과)

陶淵明寫眞圖(도연명사진도) - 謝薖(사과)

陶淵歸去潯陽曲 (도연귀거심양곡)
杖藜蒲鞵巾一幅 (장려포혜건일폭)
陰陰老樹顚黃鸝 (음음로수전황리)
艶艶東籬粲霜菊 (염염동리찬상국)

世紛無盡過眼空 (세분무진과안공)
生不事豊隨意足 (생불사풍수의족)
廟堂之資老蓬蓽 (묘당지자노봉필)
環堵蕭條僅容膝 (환도소조근용슬)

大兒頑鈍懶詩書 (대아완둔라시서)
小兒嬌癡愛梨栗 (소아교치애이률)
老妻日暮荷鋤歸 (노처일모하서귀)
欣然一笑共蝸室 (흔연일소공와실)

哦詩未遺愁肝腎 (아시미유수간신)
醉裏呼兒供紙筆 (취이호아공지필)
時時得句輒寫之 (시시득구첩사지)
五言平淡用一律 (오언평담용일률)

田家酒熟夜打門 (전가주숙야타문)
頭上自有漉酒巾 (두상자유록주건)
老農時問桑麻長 (노농시문상마장)
提壺挈榼來相親 (제호설합래상친)

一樽徑醉北窓臥 (일준경취북창와)
蕭然自謂羲皇人 (소연자위희황인)
此公聞道窮亦樂 (차공문도궁역락)
容貌不枯似丹渥 (용모불고사단악)

儒林紛紛隨溷濁 (유림분분수혼탁)
山林高義久寂寞 (산림고의구적막)
假令九原今可作 (가령구원금가작)
擧公藍輿也不惡 (거공남여야불오)

도연명사진도 - 謝薖(사과)

도연명이 심양의 고향 마을로 돌아가니
명아주 지팡이 짚고 부들 신 신고 그리고 한 폭의 건을 썼네
그늘이 짙은 고목에는 꾀꼬리가 가지 끝에서 놀고
아름다운 동녘 울타리엔 서리 맞은 국화가 곱다

세상은 끝없이 어지럽지만 눈앞을 지나면 빈 것이 되나니
생업은 부족하나 자신의 뜻을 따라 만족하게 산다네
조정에서 일할 재주와 풍채, 초라한 초가에서 늙으니
흙 담은 쓸쓸하고 겨우 몸 하나 사는 초라한 공간이라네

큰 아들은 우둔하여 글 읽기를 게을리 하고
작은 아들은 어리석어 배와 밤을 찾는다네
해 지자 늙은 아내 호미 메고 돌아오니
기뻐 한 바탕 웃으며 좁은 방을 함께한다

시를 읊어도 뱃속의 시름 다 쫓아내지 못하여
취하면 아이 불러 종이와 붓 가져오라 하네
때때로 싯귀를 얻으면 곧바로 적어놓았으니
다섯 귀는 평담한데 같은 운자를 쓴 시라네

농사짓는 집에 술 익어 밤에도 문 두드리니
머리 위에는 항상 술 거르는 건이 있다네
늙은 농부는 때때로 뽕나무나 삼나무 자란 것 물으며
술병과 술통을 가져 와 서로 어울리네

한 통 술에 취하여 북창에 누우니
소연하게 스스로 옛 사람이라 부른다
공은 바른 도를 알아 궁해도 즐거워하고
용모는 초췌하지 않고 붉은 물을 들인 듯 하네

선비들은 어지러이 더러운 것을 쫓아가니
산속의 높은 뜻 오랫동안 듣지도 못하게 되었다
만약 죽은 세상에서 지금 공을 살려올 수 있다면
공의 수레를 메게 되어도 나는 싫지 않으리


참조항목

陶淵明 (도연명) |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