白頭吟 (백두음) 民歌 (민가)

백두음(白頭吟) - 民歌

皚如上山雪 (애여상산설)
皎若雲間月 (교약운간월)
聞君有兩意 (문군유양의)
故來相決絶 (고래상결절)

今日斗酒會 (금일두주회)
明旦溝水頭 (명단구수두)
喋躞御溝上 (첩섭어구상)
溝水東西流 (구수동서류)

凄凄復凄凄 (처처복처처)
嫁娶不須啼 (가취부수제)
願得一心人 (원득일심인)
白頭不相離 (백두부상리)

竹竿何嫋嫋 (죽간하뇨뇨)
魚尾何簁簁 (어미하사사)
男兒重意氣 (남아중의기)
何用錢刀爲 (하용전도위)

백두의 노래-민가

희기가 산 위의 눈 같고
깨끗하기는 구름 사이의 달과 같구나
그대에게 두 마음이 있음을 듣고서
이 때문에 서로 결별하게 되었지요

오늘은 술 잔치 하고
내일 아침에는 개울가에서 하지요
재잘거리며 그 개울 위로 걸어가니
냇물만 동서로 흘러갔었지요

슬프고도 또 슬펐지요
시집간 여인은 울면 안된다고 하니
원컨대 한 마음만 지닌 사람을 얻어
백발이 되도록 서로 헤어지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대줄기는 어찌 이다지도 한들거리고
물고기 꼬리는 어찌 이다지도 날렵한지요
남아는 의기를 중히 여긴다는데
어찌해서 돈이나 탐하는지 알 수 없어요


상화가초조곡 (相和歌楚調曲)에 속한다. 전해 내려오는 말로는 전한 (前漢)시대 사마상여 (司馬相如)의 부인 탁문군 (卓文君)의 작 (作)이라고 하며, 상여가 첩을 얻으려고 하자 이 시를 지어 결별의 뜻을 밝혀, 상여가 첩 얻는 것을 단념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사실은 한대 (漢代)의 민가 (民歌)이며 탁문군과는 무관하다. 남자가 변심하여 여자가 헤어질 결의를 읊은 가운데 단념하지 못하는 고뇌의 기색을 엿볼 수 있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