對酒二首 (대주2수, duìjiǔ) 白居易 (백거이)

對酒二首(대주2수) 白居易(백거이)

蝸牛角上爭何事 (와우각상쟁하사)
石火光中寄此身 (석화광중기차신)
隨富隨貧且歡樂 (수부수빈차환락)
不開口笑是痴人 (불개구소시치인)

술을 대하며 2 - 백거이

달팽이 뿔 위에서 무엇을 다투는가?
전광석화처럼 짧은 삶이거늘.
부유한 대로 가난한 대로 즐거움 있는 법,
입 벌려 웃지 않는 이 어리석은 자로다.

對酒憶賀監一首 (대주억하감1수, duìjiǔyìhèjiān) 李白 (이백)

對酒憶賀監一首(대주억하감1수) 李白(이백)

四明有狂客 (사명유광객)
風流賀季眞 (풍류하계진)
長安一相見 (장안일상견)
呼我謫仙人 (호아적선인)
昔好杯中物 (석호배중물)
翻為松下塵 (번위송하진)
金龜換酒處 (금귀환주처)
卻憶淚沾巾 (각억루첨건)

술을 대하고 하감을 생각하며 - 이백

사명산에 광객이 있으니
바로 풍류객 하계진이라.
장안에서 처음 만나
나를 적선인이라 불렀네.
지난날 술을 그리 좋아하더니
지금은 소나무 아래 흙이 되었네.
금귀를 술로 바꾸던 곳
생각하니 눈물이 수건을 적시네.

代悲白頭翁 (대비백두옹) 劉廷芝 (유정지)

代悲白頭翁
劉廷芝

洛陽城東桃李花
飛來飛去落誰家
洛陽女兒惜顔色
行逢女兒長嘆息
今年花落顔色改
明年花開復誰在
實聞桑田變成海

대비백두옹(代悲白頭翁)
유정지(劉廷芝)

낙양성 동쪽 복숭아꽃 오얏꽃
날아오고 날아가며 누구의 집에 지는고
낙양의 어린 소녀는 제 얼굴이 아까운지
가다가 어린 소녀가 길게 한숨짓는 모습을 보니
올해에 꽃이 지면 얼굴은 더욱 늙으리라
내년에 피는 꽃은 또 누가 보려는가
뽕나무 밭도 푸른 바다가 된다는 것은 정말 옳은 말이다

答休上人 (답휴상인) 鮑照 (포조)

답휴상인(答休上人)-포조(鮑照)

酒出野田稻 (주출야전도)
菊生高岡草 (국생고강초)

味貌亦何奇 (미모역하기)
能令君傾倒 (능령군경도)

玉椀徒自羞 (옥완도자수)
爲君慨此秋 (위군개차추)

短歌行 (단가행, duǎngēháng) 曹操 (조조, 155∼220)

短歌行(단가행) 曹操(조조, 155∼220)

對酒當歌 (대주당가)
人生幾何 (인생기하)
譬如朝露 (비여조로)
去日苦多 (거일고다)

鹿柴 (녹채, lùchái) 王維 (왕유)

鹿柴(녹채) 王維(왕유)

空山不見人 (공산불견인)
但聞人語響 (단문인어향)
返景入深林 (반경입심림)
復照靑苔上 (복조청태상)

洛陽女兒行 (낙양녀아행) 王維 (왕유)

낙양녀아행(洛陽女兒行)-왕유(王維;?699-761?)

洛陽女兒對門居 (낙양녀아대문거)
才可容顔十五餘 (재가용안십오여)
良人玉勒乘驄馬 (량인옥늑승총마)
侍女金盤膾鯉魚 (시녀금반회리어)

畫閣朱樓盡相望 (화각주누진상망)
紅桃綠柳垂簷向 (홍도녹류수첨향)
羅帷送上七香車 (나유송상칠향거)
寶扇迎歸九華帳 (보선영귀구화장)

狂夫富貴在靑春 (광부부귀재청춘)
意氣驕奢劇季倫 (의기교사극계륜)
自憐碧玉親敎舞 (자련벽옥친교무)
不惜珊瑚持與人 (부석산호지여인)

春窗曙滅九微火 (춘창서멸구미화)
九微片片飛花瑣 (구미편편비화쇄)
戱罷曾無理曲時 (희파증무리곡시)
妝成只是薰香坐 (장성지시훈향좌)

城中相識盡繁華 (성중상식진번화)
日夜經過趙李家 (일야경과조리가)
誰憐越女顔如玉 (수련월녀안여옥)
貧賤江頭自浣紗 (빈천강두자완사)